그로 미셸→캐번디시, 바나나의 변화와 단일경작의 관련성 

안상석 기자 발행일 2023-03-07 19:06:05 댓글 0


[데일리환경=이동규 기자] 바나나가 위험에 처했다고 국립생물자원관이 알렸다.

마트에서 쉽게 살 수 있는 바나나. 먹기도 간편하고, 포만감도 있어서 많은 이가 선호하는 과일 중 하나다. 하지만 단일경작으로 인해 바나나가 위험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일경작을 하면 수익은 늘리고 비용은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또 다른 면도 존재한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전하며 흥미로운 정보를 전달했다. 우리가 먹고 있는 바나나의 99%는 캐번디시(Cavendish) 종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캐번디시가 세계 바나나 시장을 석권한 첫 번째 품종은 아니라고. 우리가 먹고 있는 바나나의 99%가 캐번디시인데 왜 시장을 석권한 첫 번째 품종이 아닐까?

캐번디시 전의 바나나 주 품종은 그로 미셸(Gros Michel)이라고 한다. 캐번디시보다 맛있다고 알려지며 멍도 덜 드는 종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맛볼 수 없다고.

1950년대에 파나마병이라는 바나나 병충해에 휩쓸려 1960년대에 생산이 중지됐기 때문이다. 그 이후 선정된 종이 지금의 캐번디시다. 캐번디시는 병충해에도 강하고 노란색으로 익는 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유럽과 같은 큰 시장에 도착할 때쯤 진열하기 좋은 색이라고.

하지만 의아한 점이 있다. 병충해 때문에 세계 주 수출용 바나나가 다 사라진다는 것은 말이 안 되기 때문이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일까? 국립생물자원관은 단일경작에 대한 위험성을 관련지었다.

식물마다 방어체계 특이성을 소유하고 있는 가운데 모두 같은 작물이기 때문에 곰팡이 등에 한 번 감염되면 무방비로 과수원, 한 지역 심지어는 전 세계의 그로 미셸을 초토화한 것이다. 만일 다양한 바나나 종이 공존했다면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단일 경작은 벌의 생물다양성에 피해를 줄 수 있고 주변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미치지만 직물 자체를 심각한 병충해 피해에 노출시키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상이 계속 반복될 수 있지 않을까? 국립생물자연관은 그럴 수도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생산 표준화, 비용 절감 등의 이점이 있는 단일경작이지만, 질병이나 기후 변화 같은 위기가 닥치면 대응 능력은 취약하다. 무엇보다 단일 작물에 수입을 의존하는 농부들, 남미와 아프리카 지역의 농민들은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사진=픽사베이

함께 보면 좋은 기사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